Unreal Engine
언리얼 엔진 - 네트워크 서버 구별 실습
언리얼 엔진에서 네트워크 모드가 클라이언트인지 서버인지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. 몇 가지 방법을 실습을 통해 알아보 ...
#Unreal Engine #NetMode #Actor #Server #Client #NetRole #Network #AuthorityUnreal Engine
언리얼 엔진에서 네트워크 모드가 클라이언트인지 서버인지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. 몇 가지 방법을 실습을 통해 알아보 ...
#Unreal Engine #NetMode #Actor #Server #Client #NetRole #Network #AuthorityJava
*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참고해 Container 클래스를 만들기 * Container 클래스는 제네릭이다. ...
#Java #Generic #Solution #Problem #Foundation #ProjectJFJava
Animal 클래스와 제네릭을 만들어보면서 알아보자 Animal 클래스 구조 Animal ...
#Java #Generic #Polymorphism #Foundation #ProjectJFJava
제네릭의 핵심은? 사용할 타입을 미리 결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 클래스 내부에 사용할 타입을 클래스로 정의하는 시점 ...
#Java #Generic #Diamond Type #Rule #Parameter #Argument #Foundation #ProjectJFJava
앞에서 작성한 코드를 살펴보자. ObjBox.class public class ObjBox { priv ...
#Java #Object #Generic #Type Safety #Foundation #ProjectJFUnreal Engine
언리얼 엔진의 네트워크 코드는 백엔드, 클라이언트 구별 없이 하나의 소스에서 만들어지므로 서버 구분을 해주는 것이 ...
#Unreal Engine #Network #Replicated #NetMode #Authority #NetRoleUnreal Engine
레플리케이션의 복제 관련된 기능을 사용해보자. 기본적으로 온라인으로 작업하고 플레이어가 접속하면 World Set ...
#Unreal Engine #Replicated #NetMode #Network #Sync #Component #Actor #CallbackJava
이전에 NumberBox, StringBox 객체를 만들어 저장하고 꺼내는 클래스를 생성하였다. 개발자에게 추가로 ...
#Java #Generic #Type #Type Safety #Foundation #ProjectJF #Trade Off #Polymorphis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