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hub 저장소 레포지트리 이용하기

Git 호스팅 업체인 Github에서 Repository 저장소를 생성해보도록 한다.

GitHub ·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, collaborative platform
Join the world’s most widely adopted, AI-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, businesses,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.

그 전에 아래 사이트에서 Git 먼저 설치해주도록 한다.

Git

Repository 생성

로그인한 이후 왼쪽 Top repositories 우측 New 버튼을 누르도록 한다.
또는 센터 화면에서 스크롤을 내리면 "Start a new repository for {My UserName}" 대시보드 화면이 있다.

생성 완료 후 어떻게 Github에서 레포지트리를 사용 방법에 대해 안내해주고 있다.


탐색기에서 폴더 생성

레포지트리 이름과 동일하게 폴더를 생성하도록 한다.

폴더 생성

다음으로 Git으로 초기화작업을 할 것이다.

Blog 폴더로 이동한 후 센터 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Powershell 를 열어주도록 한다. 또는 리눅스 사용자인 경우 Terminal로 열어주도록 한다.

터미널 or 파워쉘 열기

터미널에서는 설치한 Git 으로 로그인하고 레포지토리 저장소로 파일을 저장해보도록 한다.

Git 초기화 후 로그인

  • 파일 생성 및 Git 초기화 명령어
echo "# blog" >> README.md
git init
  • 해당 탐색기의 폴더 로그인하기
git config --local user.name "kiioio"
git config --local user.email "kiioio2244@gmail.com"

Git Repository 저장소로 Push 하여 자료 올리기

  • README.md 커밋 및 branch 환경을 main으로 저장소 설정하기
git add README.md
git commit -m "My First Commit Blog"
git branch -M main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/kiioio/blog.git
  • github 호스팅 업체로 Commit 된 내용을 Repository 로 업로드 한다.
git push -u origin main
  • 최초 Git 사용시 저장소의 로그인을 묻게 된다 Github 벤더로 로그인 해주도록한다.

Github 레포지트리 확인하기

Github의 자신의 Repository 을 확인하면 README.md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어있을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