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real Engine, Map Level 추가하기

이전 프로젝트에 Game Feature 플러그인을 WarriorCore 생성한 단계이다.
이제 새로운 Map 환경을 추가해보도록 한다.

WarriorCore > Maps 추가하기

  • 언리얼 에디터 Plugins > WarriorCore Content 커서를 두고 [New Folder] 선택하여 "Maps" 이름으로 생성하도록 한다.
WarriorCore Content
  └─Maps (+)
  • Maps 생성 이후 디렉토리 구조

New Level 생성

언리얼 에디터에서 메인화면 상단 File > New Level 를 선택하거나 Ctrl + N 단축키로 New Level 팝업을 열도록 한다.

  • Basic 를 선택하여 생성하고 있다.
  • New Level 생성 이후 Untitled 이름으로 생성한 모습
  • File > Save Current Level 로 저장하거나 Ctrl + S 단축키로 저장하도록 한다.
  • WarriorCore > Maps 아래에 정상적으로 DevMap이 저장된 모습

프로젝트 언리얼 에디터 구동 시 DevMap 로 시작하기

언리얼 에디터 메인화면 Edit > Project Settings 프로젝트 설정을 열어주도록 한다.

  • 열린 Project Settings 좌측 LNB 메뉴 Project > Maps & Modes 를 선택
  • Maps & Modes 메인화면에서 Default Maps 아래의 Editor Startup Map 항목을 앞서 생성한 "DevMap"으로 선택한다.
  • 이제 프로젝트로 언리얼 에디터를 구동하면 바로 DevMap 으로 실행될 것이다.

특정 Level Map을 Mode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

생성한 Level Map의 기본적인 Mode에 대한 장엄한 설정이 있다.

언리얼 에디터 Windows > World Settings 를 선택하면 메인화면 우측 World Settings 가 표기될 것이다.
현재 Level Map에서 사용할 Mode 클래스들을 "Selected GameMode" 이 곳에서 정할 수 있다.

게임 롤이나 일부 구조가 다른 경우 World Settings의 GameMode들을 변경하는 것은 리소스가 크고 부담이 많은 작업이다.
그래서 언리얼엔진 Lyra 는 "Default Gameplay Experience" 개념을 만들었는데,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World Settings 창에서 다룰 수 있다.

모든 Level Map에 적용되는 글로벌 GameMode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

언리얼 에디터 Edit > Project Settings 의 Project > Maps & Modes 열어 보도록 한다.
이 곳 설정한 모드는 전역으로 설정된다.
우리가 설정한 Level Map 모드도 전역으로 적용되었다.

단, 앞서 설명한 World Settings 창에서 다른 클래스를 설정하면 그 Level Map 에서만 다른 Mode로 적용하게 된다.

일단 Map & Mode 설정을 Lyra의 기본 값으로 두고 천천히 변경할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