언리얼의 리슨 서버
언리얼은 싱글게임인 스탠드얼론은 제외하고 네트워크 구조로 두 가지를 제공한다.
리슨 서버와 데디케이티드 서버
리슨 서버
리슨 서버는 주로 4명 그룹을 맺어 코옵을 하는 것을 떠올리면 된다.
경쟁이 불필요하고 방장이 로비를 만들어 다른 사용자가 참가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준비한다.
- 방장이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다.
리스폰 서버
방장만이 권한 가지고 서버처럼 실행해 나머지 클라이언트이 참가하는 방식이다.
방장은 서버처럼 동작할 뿐 아니라 클라이언트처럼 행동하므로 UI와 관련 렌더링 실행한다.
서버 역할 뿐 아니라 클라이언트처럼 겸직하므로 이를 리스폰 서버라 부른다.
그리고 몇 가지 리슨 서버의 장단점을 살펴보자
리슨 서버의 장점
- 자원 비용이 증가하지 않음
리슨 서버의 단점
- 클라이언트들은 방장의 컴퓨터 자원을 의존하므로 방장이 느리면 모든 클라이언트들도 전염되는 현상이 있다.
- 방장이 서버 권한을 갖고 있으므로 치트에 취약함.
- 클라이언트들도 치트에 오염될 수 있음
리슨과 데드케이티드 차이점
리슨 서버와 데디 서버의 차이는 클라이언트의 역할.
UI 및 입력과 렌더링 처리 유무가 있다.
앞서 설명한 리슨 서버는 겸직하고 데디 서버는 연산 처리만 하므로 입력과 렌더링 과정이 없다.
기능 차이
- 리슨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겸직함
- 데디케이티드 서버는 시뮬레이션 연산 처리만 담당
기능 활용도
- 리슨 서버
- 협력 게임에 주로 사용
- 일반 유저도 서버처럼 실행
- 데디 서버
- 경쟁 게임에 사용
- 게임 회사의 서버에서만 실행